UI 개발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환경 구성, 자동화, 배포까지 서비스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관심을 갖는 개발자입니다.
개인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기획부터 개발, 배포까지 진행하였고
Turborepo 기반 모노레포 구성, GitHub Actions를 활용한 테스트/배포 자동화 경험을 통해 엔지니어링 역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주어진 일만 하기 보다는 주도적으로 할 일을 찾고, 맡은 업무 외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이슈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아니어도 관심을 가지며 팀원과 함께 해결하였고, 코드리뷰를 통해
이러한 태도로 실제 동료들로부터 “같이 일하고 싶은 동료”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배움을 기록하고 나누는 것을 즐기며, 조회수 12만 회를 기록한 포트폴리오 글을 시작으로
50명 이상의 신입 개발자 이력서 멘토링을 진행해왔습니다.
현재까지도 링크드인과 벨로그에서 꾸준히 커리어를 회고하며 소통하고있습니다.

2024. 03. ~ 2025. 07(유지보수중)
인공지능을 활용해 학습자의 수준과 이해도를 분석하고, 맞춤형 콘텐츠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세대 교과서입니다.
약 1년 3개월간 클래스팅의 신규 사업 AI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였습니다.
AI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인 수업 업무를 맡아 전반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하였습니다.
NX, React 18, Shadcn, Radix UI, Tailwind CSS, Apollo Client, GraphQL, Sentry
2025. 07 (최근 진행한 업무)
추후 유지보수를 위해 의존성 업그레이드, 문서화 작업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 09
교과서 콘텐츠 위에 사용자가 다양한 도구로 필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오직 하나뿐인 나만의 서비스"를 만들겠다는 뜻을 담아 시작한 개인 브랜딩
프로젝트입니다.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 배포까지 전 과정을 1인 개발자로서 직접 경험하며 구축했습니다.
현재는 포트폴리오와 블로그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에는 포트폴리오
피드백 신청, 커피챗 등 소통 중심의 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입니다.
블로그와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노레포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Turborepo를 활용해 각 서비스의 빌드와 배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1인 개발 특성상 제한된 QA 리소스를 보완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Vitest 기반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엄격한 린트 규칙보다는 쉽고 빠른 린트 환경을 목적으로
ESLint를 사용하지 않고 Biome을 사용하여 린트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2024. 06 ~ 2024. 09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코스는 시니어 개발자들의 밀착 멘토링과 실무 중심 커리큘럼으로
10주 동안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실력과 커리어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개인 멘토링 진행 및 항해 취업코스 5기 이력서 코치 참여
2024. 01. ~ 2024. 11.
소프트웨어 개발과
2021. 03. ~ 2024. 01.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