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y On.

안녕하세요, 유시온입니다.

UI 개발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환경 구성, 자동화, 배포까지 서비스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관심을 갖는 개발자입니다.
개인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기획부터 개발, 배포까지 진행하였고
Turborepo 기반 모노레포 구성, GitHub Actions를 활용한 테스트/배포 자동화 경험을 통해 엔지니어링 역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주어진 일만 하기 보다는 주도적으로 할 일을 찾고, 맡은 업무 외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이슈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아니어도 관심을 가지며 팀원과 함께 해결하였고, 코드리뷰를 통해
이러한 태도로 실제 동료들로부터 “같이 일하고 싶은 동료”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배움을 기록하고 나누는 것을 즐기며, 조회수 12만 회를 기록한 포트폴리오 글을 시작으로
50명 이상의 신입 개발자 이력서 멘토링을 진행해왔습니다.
현재까지도 링크드인과 벨로그에서 꾸준히 커리어를 회고하며 소통하고있습니다.

프로필

profile

기술

경력

클래스팅

프론트엔드 개발자

2024. 03. ~ 재직중

클래스팅은 교육기관에서 데이터 기반 맞춤 교육 전략을 제공하는 에듀테크 기업입니다.

클래스팅 AI 디지털 교과서

2024. 03. ~ 2025. 07(유지보수중)

인공지능을 활용해 학습자의 수준과 이해도를 분석하고, 맞춤형 콘텐츠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세대 교과서입니다.

약 1년 3개월간 클래스팅의 신규 사업 AI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였습니다.
AI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인 수업 업무를 맡아 전반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하였습니다.

기술 스택

NX, React 18, Shadcn, Radix UI, Tailwind CSS, Apollo Client, GraphQL, Sentry

프로젝트 유지보수 진행

2025. 07 (최근 진행한 업무)

추후 유지보수를 위해 의존성 업그레이드, 문서화 작업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Tailwind CSS v3 → v4 업그레이드 진행
  • 전체 스타일 파일 크기 407KB → 260KB로 약 36% 개선하여 초기 로딩 속도 향상.
  • @tailwindcss/upgrade 툴을 활용하여 breaking changes를 빠르게 대응함.
Radix UI 의존성 26개 업그레이드 진행
  • 공통 디자인 시스템으로 사용하던 Radix UI 의존성 전체 업그레이드를 진행함.
프론트엔드 서비스 문서화 진행
  • 총 4개의 프론트엔드 서비스와 3개의 라이브러리에 대한 README.md 문서를 정리함.
  •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로직 설명과 프로젝트 세팅 관련 온보딩 가이드를 정리함.

교과서 필기 기능 구현

2024. 09

교과서 콘텐츠 위에 사용자가 다양한 도구로 필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리액트 메모이제이션 통해 페이지 리렌더링 개선
  • 필기 동작 혹은 스크롤 시 페이지 레이아웃에서 리렌더링이 발생하고 있어 메모이제이션을 적용하여 페이지 성능을 개선함.
Tldraw 커스텀 툴바 구현
  • Tldraw 라이브러리 API를 연동하여 필기 이벤트를 제어하는 커스텀 툴바를 직접 구현함.

프로젝트

Only On

1인 개발(프론트엔드, 디자인, 기획, 배포 진행)

2025. 02. ~ 운영중

“오직 하나뿐인 나만의 서비스"를 만들겠다는 뜻을 담아 시작한 개인 브랜딩 프로젝트입니다.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 배포까지 전 과정을 1인 개발자로서 직접 경험하며 구축했습니다.
현재는 포트폴리오와 블로그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에는 포트폴리오 피드백 신청, 커피챗 등 소통 중심의 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입니다.

Turborepo 모노레포 환경 구성

블로그와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노레포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Turborepo를 활용해 각 서비스의 빌드와 배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Vitest 테스트 환경 구축

1인 개발 특성상 제한된 QA 리소스를 보완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Vitest 기반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테스트 커버리지 리포트 자동화 환경 구성
  • 프로젝트 중간에 테스트 코드를 도입하여 초기에는 검증되지 않은 코드가 많아 커버리지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음.
  • PR마다 커버리지 리포트 자동화를 구축하여, 테스트 작성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임.
  • 테스트 커버리지 30% → 42%로 약 12%정도 증가

Biome 린트 환경 구축

엄격한 린트 규칙보다는 쉽고 빠른 린트 환경을 목적으로
ESLint를 사용하지 않고 Biome을 사용하여 린트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린트 자동화 환경 구성
  • 기존에는 Vercel 배포 워크플로우에서만 린트 오류 확인이 가능해, 오류 발견이 지연되는 불편함이 있었음.
  • Biome 기반 린트 환경을 구축하여 로컬에서도 빠르게 린트 오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 써드파티 플러그인을 활용해 잘못된 코드 위치를 GitHub 코멘트로 자동으로 표시하여, 신속한 오류 파악과 수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함.

대외활동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코스 2기 참여

2024. 06 ~ 2024. 09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코스는 시니어 개발자들의 밀착 멘토링과 실무 중심 커리큘럼으로
10주 동안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실력과 커리어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20개 과제 중 17번 Best Practice 선정

주어진 20개 과제를 모두 성실히 제출하였고, 이 중 17개 과제가 Best Practice로 선정되어 동료들로부터 기술적 역량과 성실함을 인정받았습니다.
1주차 React 메모이제이션 구현 과제 (과제 링크 →)
  • React의 렌더링 동작 원리를 분석하고,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는 최적화 과제를 수행함.
  • 이를 통해 React.memo, useMemo, useCallback의 역할을 이해하며, 이를 통해 실제 업무에서 렌더 성능을 95% 개선함.
6주차 CI/CD 자동화 과제 (과제 링크 →)
  • GitHub Actions을 통해 CI/CD 파이프라인을 직접 설계하고 구현한 과제를 수행함.
  • Cypress 오픈 소스를 참고하여 scripts를 yml 에서 분리하여 JS 파일로 구성함으로써 재사용성과 안정성을 확보함.
  • 린트, 테스트 커버리지, Lighthouse 성능 측정, PR 리뷰 알림까지 포함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였고, 이후 개인 프로젝트에서CI/CD 환경을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됨.
8주차 TDD 과제 (과제 링크 →)
  • TDD를 하며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고, 테스트 전략에 대해 학습하는 과제를 수행함.
  • TDD로 유닛 테스트를 작성해보았고, 또한 Cypress를 사용하여 여러 테스트 전략 중 E2E 테스트를 경험함.

팀장 역할을 맡아 팀원 전원 수료

팀장 역할을 맡아 팀원들의 학습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멘토링을 주도하며
과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팀원 전원의 완주를 이끌었습니다. (14개 조 중 팀원 전원 수료는 2개 조)
이를 통해 협업과 리더십 역량을 한층 성장시킬 수 있었습니다.

신입 개발자 이력서&포트폴리오 멘토링

개인 멘토링 진행 및 항해 취업코스 5기 이력서 코치 참여

2024. 01. ~ 2024. 11.

신입 개발자 포트폴리오 작성법에 대한 포스팅을 통해 약 37명의 포트폴리오 멘토링을 진행했으며,
멘티들로부터 서류 합격률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또한 항해 취업코스 5기에서 이력서 코치로 활동하며, 2주 동안 총 13명의 이력서를 피드백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었고 저 역시 이력서 작성 및 서류 검토 역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교육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소프트웨어 개발과

2021. 03. ~ 2024. 01. 졸업